추석 연휴 동안 고향 방문이나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공공주차장 무료 이용 혜택을 꼭 챙기세요.
올해는 전국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운영하는 주차장 1만여 곳 이상이 무료로 개방됩니다.
이 글에서는 무료 이용 가능한 주차장 찾는 방법, 이용 시 유의사항, 지역별 확인 팁까지 정리했습니다.
1. 2025년 추석 연휴 공공주차장 무료 개방 일정
올해 추석 연휴는 10월 3일(금)부터 10월 9일(목)까지 총 7일간 이어집니다.
이 기간 동안 행정안전부와 각 지자체가 협력해 공공주차장을 무료 개방합니다.
구분 | 운영 주체 | 개방 대상 | 무료 개방 기간 |
---|---|---|---|
전국 공공기관 | 행정안전부·지자체 | 시청·구청·학교·체육관 등 부설주차장 | 10월 3일~10월 9일 |
서울시설공단 | 서울시 공영주차장 57개소 | 전면 무료 | 10월 3일~10월 9일 |
지방자치단체 | 각 지역 공영·공공시설 | 일부 시간대 제한 가능 | 지자체별 상이 |
중요 포인트:
면적이 넓은 학교·체육시설 주차장은 대부분 무료 개방 대상이지만, 지자체별로 운영시간이 다르므로 현장 안내문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2. 무료 개방 주차장 찾는 법
무료 개방 주차장은 지도앱과 지자체 공지를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1) 길찾기 앱 검색 활용
– 네이버 지도, 카카오맵, T맵 등에서 “추석 무료주차장”, “명절 무료개방주차장” 검색
– 주변 공공주차장 중 ‘무료’ 또는 ‘개방’ 표시가 뜹니다.
2) 지자체 공식 홈페이지 확인
– 각 시·군·구청 홈페이지나 교통행정과 공지사항에 ‘추석 연휴 무료 개방 주차장’ 목록이 게시됩니다.
– 예: 서울시설공단, 부산시설공단, 대전도시공사 등.
3) 공공서비스 포털 ‘공유누리’ 이용
– 공유누리 사이트 접속 → ‘명절 무료 개방 주차장’ 검색
– 전국 공공기관 주차장 정보와 개방 여부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3. 이용 전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
무료 개방이라 해도 모든 주차장이 24시간 운영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사항을 미리 확인해두면 불편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운영 시간 확인: 일부 기관은 낮 시간만 무료 개방합니다.
- 시설 내 행사 여부: 체육관·학교 등은 자체 행사로 인해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입차 마감 시간 주의: 마감 이후 입차 시 유료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 혼잡 시간대 회피: 명절 전날(10월 2일)과 귀성일(10월 3일 오전)은 가장 혼잡합니다.
4. 지역별 무료 개방 주차장 정보 예시
지역 | 주요 무료 개방 기관 | 문의처 |
---|---|---|
서울 | 서울시설공단 공영주차장 57개소 | 02-2290-6114 |
부산 | 부산시설공단, 구청 부설주차장 | 051-290-6200 |
인천 | 인천시설공단 공영주차장 | 032-451-2000 |
대전 | 대전도시공사, 유성구청 등 | 042-539-8000 |
꿀팁:
지자체마다 추석 연휴 전날 공식 SNS나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최신 목록이 업로드됩니다.
출발 전 1회만 확인해도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유용한 링크 모음
FAQ (자주 묻는 질문)
추석 연휴 동안 모든 공공주차장이 무료인가요?
아니요. 대부분 무료 개방되지만, 일부 기관은 내부 사정이나 보안 문제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무료 개방 주차장에도 주차 시간 제한이 있나요?
있습니다. 지자체별로 ‘주간만’, ‘오전 9시~오후 6시’ 등 제한을 두는 곳도 있습니다.
민영주차장도 무료인가요?
민간 주차장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단, 일부 대형마트나 백화점은 자체 이벤트로 무료 운영하기도 합니다.
무료 주차 중 사고가 나면 보상받을 수 있나요?
공공주차장 개방 중 발생한 사고는 일반적으로 개인 책임이 원칙입니다. 보험사나 경찰에 즉시 신고하세요.
전기차 충전 구역도 무료인가요?
주차는 무료지만, 충전 요금은 별도 로 부과됩니다.
지역별 정보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공유누리(eshare.go.kr)에서 전국 무료 개방 주차장 정보를 통합 조회할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