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에서 영상을 올리다 보면 “이 영상은 저작권 침해 신고로 삭제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본 적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실제로 저작권이 걸리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그리고 단순 경고와 채널 삭제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오늘은 유튜브 저작권 경고(Strike)의 구조와 대응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유튜브 저작권이 걸린다는 건 무슨 뜻일까?
많은 크리에이터가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유튜브에서 “저작권이 걸렸다”는 말은 두 가지 상황으로 나뉩니다.
유형 | 설명 | 결과 |
---|---|---|
Content ID 클레임 | 시스템이 자동으로 음원·영상의 유사 부분을 감지 | 영상 유지 가능, 수익 분배 또는 차단 가능 |
저작권 삭제 요청(Takedown Request) | 저작권자가 법적으로 삭제를 요청 | 영상 삭제 + 채널에 경고(Strike) 부과 |
즉, 단순한 클레임(Claim) 은 영상이 차단되지 않더라도, 수익이 저작권자에게 넘어갈 수 있습니다.
반면, 삭제 요청(Takedown) 이 들어오면 채널에 직접적인 경고가 쌓이게 됩니다.
저작권 경고(Strike)가 생기면 일어나는 일
유튜브의 저작권 경고 제도는 누적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한 번의 경고는 일시적이지만, 3회 누적 시 채널이 완전히 삭제될 수 있습니다. ⚠️
경고 횟수 | 주요 제재 | 특징 |
---|---|---|
1회 | 해당 영상 삭제, 교육 프로그램 이수 필요 | 90일 후 자동 해제 |
2회 | 라이브 방송 제한 등 일부 기능 차단 | 추가 위반 시 채널 삭제 경고 |
3회 (90일 내) | 채널 영구 삭제 | 복구 불가, 새 채널 개설 제한 |
유튜브는 첫 번째 경고 시 “저작권 학교(Copyright School)” 이수를 요구하며, 90일 동안 추가 경고가 없으면 자동으로 해제됩니다.
저작권 경고를 받은 후 할 수 있는 일
경고를 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끝은 아닙니다. 세 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1️⃣ 저작권자에게 철회 요청하기
– 저작권자와 직접 연락하여 “삭제 요청을 철회”하도록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상대가 수락하면 경고가 취소되고 영상이 복구됩니다.
2️⃣ 이의 제기(Counter Notification)
– 본인이 합법적으로 사용했거나 공정 이용(Fair Use)이라고 판단될 경우 제출합니다.
– 유튜브는 신고자에게 통보하고, 10일 내 소송 제기가 없으면 영상이 복구됩니다.
3️⃣ 90일 유지 후 자동 해제 기다리기
– 저작권 학교를 수료하고 일정 기간 경과하면 경고는 소멸됩니다.
경고를 피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법
생각보다 많은 크리에이터가 사소한 부주의로 저작권 경고를 받습니다.
이런 실수를 줄이기 위해 아래 항목을 꼭 점검하세요.
주의할 요소 | 안전한 대안 |
---|---|
상업용 노래 삽입 | YouTube 오디오 보관함 음원 사용 |
방송 클립/영화 장면 재사용 | 공정 이용 여부 확인 또는 패러디로 제한 |
다른 채널의 영상 재업로드 | 원작자 동의서(서면·이메일) 확보 |
외부 무료 음원 | 라이선스 문구, 출처 표시 필수 |
특히 “무료 음원”이라도 상업적 사용 가능 여부와 출처 표시 조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유용한 링크 모음
FAQ (자주 묻는 질문)
영상에 저작권이 걸리면 바로 삭제되나요?
저작권자가 삭제 요청 을 제출한 경우에만 삭제됩니다. 단순 클레임이면 영상은 유지됩니다.
저작권 경고를 받으면 채널이 바로 정지되나요?
아닙니다. 1회는 경고 상태이며, 90일 내 3회 누적 시 채널이 삭제됩니다.
경고를 받은 뒤 영상 재업로드하면 괜찮을까요?
같은 콘텐츠를 다시 올리면 또다시 경고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유튜브는 파일, 음원, 길이 등을 자동으로 인식합니다.
저작권자가 신고를 철회할 수도 있나요?
네. 본인 요청으로 삭제를 철회하면 영상이 복구되고 경고도 사라집니다.
경고 기간 중 다른 경고가 생기면 어떻게 되나요?
누적되어 채널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특히 90일 안에 3회가 누적되면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저작권 문제 없이 영상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YouTube 오디오 보관함 또는 CC0 라이선스 음원을 사용하고, 영상 내 타인의 자료를 인용할 땐 공정 이용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
결국 유튜브 저작권 경고는 단순한 제재가 아니라, 콘텐츠 제작자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한 번의 실수로 채널이 사라질 수도 있지만, 정확한 절차와 라이선스 인식을 갖추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모른다’는 이유로 삭제당하지 않으려면, 오늘부터 저작권을 콘텐츠 전략의 일부로 관리해 보세요.
댓글 남기기